건강, 의료, 간호

🩺 혈압 정상수치는 몇일까? 연령별 고혈압 기준과 관리법 총정리 (2025년 기준)

Nurse_DaDachu 2025. 5. 25. 22:37
반응형

 

 

 

✅ 혈압이란 무엇인가요?

혈압은 심장이 혈액을 전신으로 내보낼 때 혈관 벽에 가해지는 압력입니다. 수축기 혈압(최고 혈압)과 이완기 혈압(최저 혈압)으로 나뉘며, 단위는 mmHg입니다.

📌 2025년 기준 고혈압 진단 기준

구분 수축기(mmHg) 이완기(mmHg)
정상 혈압 <120 <80
고혈압 전단계 120~129 <80
고혈압 1기 130~139 80~89
고혈압 2기 ≥140 ≥90
고혈압 위기 ≥180 ≥120

🔍 연령별 정상 혈압 기준

연령대 정상 혈압 범위 특징
20~30대 110~120 / 70~80 생활습관 영향 큼
40대 115~125 / 75~85 대사증후군, 스트레스↑
50대 120~130 / 80~85 당뇨·고지혈증 동반 많음
60~70대 130~140 / 80~90 개인 맞춤 혈압 관리 필요
80세 이상 150/90 미만 권장 낙상·저혈압 주의

📋 고혈압 진단 절차 요약

  • 진료실 혈압 ≥ 140/90mmHg
  • 2회 이상 측정 평균값 활용
  • 가정혈압 ≥ 135/85mmHg도 고혈압 의심
  • 24시간 활동혈압 측정(ABPM) 가능

🧠 고혈압이 위험한 이유

  • 뇌졸중, 심장질환, 신장 손상 위험↑
  • 무증상으로 진행되어 조기 발견 어려움
  •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림

✅ 고혈압 관리법 5가지

  1. 저염식 실천: 나트륨 2g 이하, 인스턴트 식품 줄이기
  2. 체중 감량: 5~10kg 감량 시 혈압 5~10mmHg 감소
  3. 운동 습관: 주 150분 유산소 운동
  4. 스트레스 관리: 수면, 명상, 심호흡 훈련 병행
  5. 약물 치료: 필요 시 의사 지시하에 복용 유지

🏠 가정혈압 측정 팁

  • 기상 후, 식사 전, 배변 후에 측정
  • 5분간 앉은 자세로 안정 후 측정
  • 양팔 측정, 높은 쪽 기준으로 기록
  • 매일 같은 시간 측정 권장

📌 요약

혈압 관리의 핵심은 조기 진단과 꾸준한 생활습관 개선입니다.
혈압 수치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정기 검진을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