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혈압이란 무엇인가요?
혈압은 심장이 혈액을 전신으로 내보낼 때 혈관 벽에 가해지는 압력입니다. 수축기 혈압(최고 혈압)과 이완기 혈압(최저 혈압)으로 나뉘며, 단위는 mmHg입니다.
📌 2025년 기준 고혈압 진단 기준
구분 | 수축기(mmHg) | 이완기(mmHg) |
---|---|---|
정상 혈압 | <120 | <80 |
고혈압 전단계 | 120~129 | <80 |
고혈압 1기 | 130~139 | 80~89 |
고혈압 2기 | ≥140 | ≥90 |
고혈압 위기 | ≥180 | ≥120 |
🔍 연령별 정상 혈압 기준
연령대 | 정상 혈압 범위 | 특징 |
---|---|---|
20~30대 | 110~120 / 70~80 | 생활습관 영향 큼 |
40대 | 115~125 / 75~85 | 대사증후군, 스트레스↑ |
50대 | 120~130 / 80~85 | 당뇨·고지혈증 동반 많음 |
60~70대 | 130~140 / 80~90 | 개인 맞춤 혈압 관리 필요 |
80세 이상 | 150/90 미만 권장 | 낙상·저혈압 주의 |
📋 고혈압 진단 절차 요약
- 진료실 혈압 ≥ 140/90mmHg
- 2회 이상 측정 평균값 활용
- 가정혈압 ≥ 135/85mmHg도 고혈압 의심
- 24시간 활동혈압 측정(ABPM) 가능
🧠 고혈압이 위험한 이유
- 뇌졸중, 심장질환, 신장 손상 위험↑
- 무증상으로 진행되어 조기 발견 어려움
-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림
✅ 고혈압 관리법 5가지
- 저염식 실천: 나트륨 2g 이하, 인스턴트 식품 줄이기
- 체중 감량: 5~10kg 감량 시 혈압 5~10mmHg 감소
- 운동 습관: 주 150분 유산소 운동
- 스트레스 관리: 수면, 명상, 심호흡 훈련 병행
- 약물 치료: 필요 시 의사 지시하에 복용 유지
🏠 가정혈압 측정 팁
- 기상 후, 식사 전, 배변 후에 측정
- 5분간 앉은 자세로 안정 후 측정
- 양팔 측정, 높은 쪽 기준으로 기록
- 매일 같은 시간 측정 권장
📌 요약
혈압 관리의 핵심은 조기 진단과 꾸준한 생활습관 개선입니다.
혈압 수치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정기 검진을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세요.
반응형
'건강, 의료,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심부전 환자의 입원 간호 핵심 요약 (Checklist 포함) (0) | 2025.05.26 |
---|---|
👩⚕️ 간호사-환자 간 갈등 상황, 이렇게 풀면 좋습니다 (0) | 2025.05.26 |
🦠여름 코로나19 재유행 조짐… 지금 주의할 점은? (3) | 2025.05.24 |
🧬 면역세포를 깨우는 영양소, 리포좀 비타민C가 뜨는 이유 (2) | 2025.05.22 |
🩸 빈혈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 철분 섭취 팁 (5)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