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경제, 이슈

✅ Z세대만의 취향은 없다? 옴니보어 소비자 유형 총정리

Nurse_DaDachu 2025. 6. 10. 09:24
반응형

✅ Z세대만의 취향은 없다? 옴니보어 소비자 유형 총정리

1. ‘옴니보어(Omnivore)’란 무엇인가?

‘옴니보어(Omnivore)’는 원래 생물학적 개념으로 ‘다양한 식물을 포함해 동물성 식품도 섭취하는 잡식성’을 가리킨다.
하지만 최근 소비자 트렌드에서는 식품뿐 아니라 문화·라이프스타일 전반에서 ‘다양성’을 수용하는 태도로 의미가 확장됐다. 즉, 특정 성향에 얽매이지 않고 여러 선택지에서 자유롭게 소비하는 유형을 뜻한다.


2. ‘디지털 옴니보어’란?

‘디지털 옴니보어(Digital Omnivore)’는 여러 디바이스와 플랫폼을 넘나들며 콘텐츠를 소비하는 이용자를 설명하는 데 쓰인다.
예컨대, PC·모바일·TV를 모두 활용해 미디어를 이용하는 유형으로, 모바일에서 뉴스·공유, TV에서 영상 콘텐츠를 소비하는 복합 소비형태가 대표적이다 .


3. 옴니보어 소비자의 주요 특성

✅ 선택의 다양성 선호

  • 기존에는 특정 프랜차이즈, 브랜드 고정 소비 경향이 짙었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경험을 추구하는 소비가 증가.
  • 예: 한 카페 브랜드만 고집하지 않고 소규모 개성 카페와 프랜차이즈를 번갈아 방문.

✅ 경계 없는 세대 소비

  • Z세대는 멀티플레이형 소비자로 패턴이 다양하지만, 최근 X세대, 베이비부머도 자신만의 취향을 적극적으로 개방함.
  • 예: 50대 이상도 힙한 카페나 독립출판물, 비건 간식을 경험.

✅ 경험 중심 소비 확장

  • 단순히 제품을 구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체험·스토리·커뮤니티 등 부가가치를 중시. 그래서 팝업스토어, 브랜드 체험 공간, 구독 서비스 등 참여형 소비가 증가 중.

✅ 복합 문화 소비 양상

  • OTT, 유튜브, 팟캐스트, 유튜브·틱톡 콘텐츠를 동시에 활용.
  • **‘소셜 옴니보어(Social Omnivore)’**는 집에서는 비건·채식, 외식에서는 육류도 즐기는 유연한 형태다.

4. 옴니보어 소비자 유형 분류

유형 특징 예시
디지털 옴니보어 다양한 디바이스·플랫폼 활용 모바일 + 큐레이션 뉴스 + 넷플릭스 + 틱톡
경험형 옴니보어 직접 체험 중심 소비 팝업스토어 + 카페+문화공간 혼합 방문
소셜 옴니보어 사회적 맥락에 따라 소비 방식 변화 집에선 채식, 외식은 육류
하이브리드 옴니보어 물리+디지털 혼합 소비 VR체험 + 실매장 구매 + 구독형 제품 시도

각 유형은 컨텍스트에 따라 유연하게 이동하며 소비하며, 브랜드와 마케팅 관점에서 다중 접점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다.


5. Z세대에서 옴니보어가 두드러지는 이유

  • 정보 접근의 쉬움: 모바일·SNS·유튜브·뉴스앱 등 다양한 창구로 콘텐츠 탐색이 간편하다.
  • 개인정체성 중시: 특정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취향 큐레이션을 추구한다.
  • 소비 유연성: 구독·공유·중고거래 등 비소유적 소비 확장으로 경계가 붕괴됨.

6. 기업 및 브랜드 대응 전략

✅ omnichannel 전략

  • 온라인 + 오프라인 통합 전략 필요. 예:
    • SNS에서 제품 체험 후, 오프라인 매장 이벤트 참여 → 구매 유도
    • AR·VR 체험 + 실제 구매 연계

✅ 퍼스널라이징 강화

  • 사용자 행동 기반 맞춤 큐레이션, 추천 알고리즘.
  • 예: 맞춤형 쉐이크, 반려동물 펫푸드 추천 등.

✅ 참여형 커뮤니티 운영

  • 리얼 스토어 이벤트, 소비자 체험단, 리뷰 중심 커뮤니티 운영
  • 소비자들이 직접 브랜드 콘텐츠에 참여하게 함.

✅ 유연한 가격 및 가격 전략

  • 소규모 + 다채널 결제, 멤버십 + 회차별 체험 조합으로 구매 장벽 낮추기.

7. Z세대는 왜 옴니보어인가?

  • 가용 시간·주머니 모두 적은 2030 : 비용 대비 경험을 극대화하려는 욕구.
  • 정보 과포화 시대: 새로운 콘텐츠에 빠르게 적응함.
  • 리얼 소비공간 중심이 아닌 ‘콘텐츠 소비’ 기반 변화로, 브랜드와의 ‘경험 교감’을 중요시 한다.

✅ 종합 요약

  • ‘옴니보어 소비자’는 특정 세대 구분 없이, 디지털+실체 경험을 유연하게 넘나들며 소비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 이는 콘텐츠와 체험의 결합, 참여적 소비 중심으로 마케팅 전략이 전환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줍니다.

향후 옴니보어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브랜드는 다채널 경험 제공, 체험 중심 디자인이 필수 요소가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