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의료, 간호

'몸이 자꾸 부어요.' 부종(oedema) 왜 생기는 걸까?

Nurse_DaDachu 2023. 1. 26. 09:46
반응형

부종이란?

조직 내에 액체가 비정상적으로 추적된 상태로 울혈성 심부전, 간부전, 영양실조, 신증후군과 같은 여러 심각한 의학적 상태를 나타내는 소견이다. 또한 말단부의 부종은 정맥이나 림프계통의 폐쇄 도는 염분이나 순분의 과다한 공급으로 인해서 생길 수도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와 칼슘통로차단제 역시 말초 부종을 일으킬 수 있다.

환자들은 주로 다리가 붓는다고 호소한다. 심한 경우에는 부종으로 인해 배가 부르거나 천골부의 부종, 흉수, 폐부종, 안면 부종까지 올 수 도 있다. 늘 그런 것은 아니지만 부종은 흔히 체위에 영향을 받으며, 침상에 오래 누워 있는 사람들에서는 부종이 천골 부위에만 국한되어 있을 수도 있다. 

양측성 다리 부종

심부전의 다리 부종은 우심부전에 의하여 발생하여, 경정맥압의 상승과 연관되어 있다. 간비대도 종종 나타나 기저 심질환이 있음을 시사한다. 만약 다리 부종은 경한데 복부의 부종이 심하다면 심낭유착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간부전의 다리부종은 낮은 혈청 알부민 수치에 의해 발생된다. 거미양 모반, 백색손발톱, 여성형 유방, 간문맥고혈압을 시사하는 복부 정맥의 확장, 멍 등과 같은 만성 간질환의 징후를 보일 수 있다. 경정맥압은 상승되어 있지 않다. 심한 만성 간질환(간경변)에서는 프로트로빈 시간은 20초 이상으로 증가되어 있으나, 간효소 수치는 크게 증가되어 잇지 않을 수도 있다. 급성 간부전에서는 환자가 심한 병색을 보이며 뇌기능장애가 현저하고 간기능검사상 뚜렷하게 비정상 소견을 보인다.

 

신부전의 다리부종은 혈청알부민이 낮거나 단백뇨가 검출되며 확진검사에는 혈청알부민(<30g/dL), 요단백(>4g/24h), 혈청크레아티닌 및 요소 수치의 측정, 수분을 잘 배설하지 못하게 된다. 

 

전신을 움직이지 못할 때의 다리부종은 환자는 대개 고령이며 전신쇠약 또는 뇌혈관질환으로 인해 전혀 움직이지 못한다. 경정맥압은 감소하고 간이나 신장질환의 징후는 없다.

 

영양실조의 부종은 어떤 만성 질환의 이화상태와 관련되어 있고 혈청 알부민을 감소시키거나 다리부종을 유발할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영양실조와 연관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하대정맥 압박의 다리부종은 드물지만 양쪽다리 부종이 하대정맥 압박에 의해서 생길 수도 있다. 이는 혈류를 확인하기 위해 컬러도플러 복부초음파를 이용하거나 CT로 진단할 수 있다. 원인으로는 심한, 비만, 어떤 원인에 의한 심한 복수, 악성종양이나 신증후군의 합병증으로 발생되는 광범위한 하대정맥혈전증이 있다. 

 

일측성 다리 부종

심부정맥혈전증은 다리의 일측성 하지통증, 부종, 피부의 온열감, 종아리 부위와 대복재정맥과 같은 정맥을 따라 일어나는 압통 등을 서서히(수 시간 이상에 걸쳐) 유발한다. 증상과 징후 만으로는 진단을 내릴 수 없으므로 심부정맥혈전증이 의심되는 모든 환자에게 확진을 위한 정맥초음파검사 또는 정맥조영술을 시행하고 폐색전증이 합병되었는지를 검사한다.

 

베이커 낭종은 오금오목으로 돌출된 무릎관절의 관절낭으로 류마티스관절염에서 잘 나타난다. 파열될 수 있으며 파열되면 갑작스러운 다리 통증 및 종아리의 부종을 유발한다. 초음파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된다

 

연조직염은 심하게 피부 홍반이 동반되며 때때로 경계가 잘 지어지기도 하지만 종종 림프관을 따라 퍼지기도 한다. 흔히 통증이 심하며 열이 나고 적혈구침강속도, C-반응단백 및 백혈구 수치가 높아진다. 원인균은 대개 포도상구군이나 연쇄상구균 중의 한 균종이며, 피부도말에서는 거의 자라지 않지만 혈액배양에서 검출되기도 한다.

 

림프관 폐쇄 시 일측성으로 나무와 같이 부종이 생기는데, 비함몰 부종이라고도 한다. 서구에서는 매우 드물며 전이성 흑색종과 같은 악성종양이 림프관을 침범하거나 폐쇄시켰을 때에 볼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림프관 폐쇄가 매우 흔하며 흔히 양측성이며 사상충 감염으로 발생한다.

 

골반 종양이 생긴 경우 일측성 정맥을 압박하여 부종을 일으킬 수 있다. 

부분적으로 움직이지 못할 때, 오래 지속된 편마비와 같은 경우 일측성 하지 부종이 일어날 수 있다.

반응형